2025년부터 보조배터리 비행기 탈 때 어디에 보관해야 할까?

2025년 3월 1일부터 대한민국 항공사에서 강화된 보조배터리 휴대 규정이 시행되었습니다. 이 규정은 비행 중 화재 위험을 줄이고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, 보조배터리를 포함한 휴대용 배터리의 위치와 사용 방법에 대한 엄격한 지침을 제공합니다.


    2025년부터 보조배터리 비행기 탈 때 어디에 보관해야 할까?

    📋 새로운 규정 요약

    • 보관 위치: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승객의 몸 가까이에 두거나 좌석 포켓에 보관해야 합니다. 기내 수납함(오버헤드 빈)에 보관하는 것은 금지됩니다.
    • 충전 금지: 비행 중 기내 전원이나 다른 배터리를 이용해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.
    • 용량 제한: - 최대 100Wh 이하의 배터리는 특별 승인 없이 휴대 가능
      - 101Wh~160Wh 사이의 배터리는 항공사 승인 후 최대 2개까지 허용
      - 160Wh 초과 배터리는 휴대 불가
    • 안전 조치: 배터리 단자는 절연 테이프로 덮거나 보호 파우치에 넣어야 하며, 금속 물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


    🚨 규정 강화 배경

    이번 규정은 2025년 1월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건을 계기로 마련되었습니다. 해당 사고는 기내 수납함에 보관된 리튬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며, 이를 통해 보조배터리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.



    ✈️ 비행 중 보조배터리 관리 방법

    규정 항목 내용
    보관 위치 몸 가까이 또는 좌석 포켓
    충전 여부 충전 금지
    절연 조치 단자 보호 필수 (테이프 또는 파우치)


    📞 문의 및 추가 정보

    항공사별로 세부 규정이 다를 수 있으니 출발 전에 반드시 확인하세요. 자세한 내용은 각 항공사 고객센터 또는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


    마치며

    보조배터리는 현대인의 필수품이지만,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규정을 통해 보다 안전한 비행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되며, 승객 여러분께서는 반드시 규정을 준수하시길 바랍니다!




    모든 컨텐츠는 현직 공인노무사가 작성합니다.
    컨텐츠의 내용은 법과 판례, 행정해석 등을 참고하여 작성하지만 법적 근거자료가 될 수는 없습니다.
    지금까지 『공인노무사가 전하는 세상의 모든 근로자를 위한 정보(세모글, SEMOGLE)』이었습니다.
    감사합니다.

    댓글 쓰기

    다음 이전